• Home
  • About
  • Worklist
  • Writings and Arrangements
  • Get in Touch
MY SITE

about me

     I'm now making sounds and music in Seoul. Recently, I've been composing music based on the work of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qualities of various sound materials in several stages and classifying them by various criteria. I sometimes say this process in a sophisticated way, 'taxonomy music'. In addition, I'm experimenting with various structure of music and interpolation methods in my compositions. 
     And I am also interested in electric and electronic instruments. Recently I have been playing around with electric guitars and self-made synths on my own. I also have been exploring DSP, ambience, and music quotation using pre-recorded audio files. Above all, for the publicness of art, I am thinking about the keyword 'sociality of music' and the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meanings and auras that have been deposited in the sounds we listen to and live with. I have often worked on music for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I sometimes work as an audio signal processing programmer. The language I mainly use is SuperCollider, and I sometimes use Max or PD when it's necessary. And I also work as an audio engineer and a recording engineer in the contemporary music industry(please hire me) and a leader of comtemporary arts music sound crew "Team Klangregie".


李相彬(イ・サンビン)
      1994年生まれ。ソウルにて作曲家、サウンドデザイナーとして活動しており最近は韓国芸術総合学校(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にてコンピューター音楽理論分野の研究を進行中である。様々な音の材料の特性と個別のクォリティー、そしてそれらが持つ音楽外的な意味についてしばしば考えており、その材料を新しい方法でどう糾合するかについて考えている。他にも事前録音されたサンプルを用いたDSP(信号処理)とアンビエント、音楽引用に関する探求も続けており、オーディオプログラミングに関連した仕事をすることもある。(Translation: Uijin Oh)


     서울에서 이런저런 음악을 만들고 있다(행복주택 좀 당첨되고 싶다 서울도시주택공사 님덜아ㅠㅠ). 최근에는 다양한 소리 재료들의 특성과 개별 퀄리티를 몇 단계로 정의내리고, 이것을 아주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하는 작업, 유식하게 말하자면 'Taxonomy화' 작업을 바탕으로 음악을 구성하고 있으며, 더불어 다양한 형식 배치와 보간법(interpolation)을 곡 속에서 실험 중이다.
     그리고 전기, 전자 악기에도 관심을 가지고 최근에는 일렉트릭 기타와 자작 신스들을 혼자서 조금씩 깔짝대는 중이다. 그 외에도 사전 녹음된 오디오 파일을 이용한 DSP와 앰비언스, 음악 인용에 관한 탐구도 많이 했었다(좀 과거형임). 무엇보다 예술의 공공성을 위해, '음악의 사회성'이라는 키워드와 우리가 듣고 사는 소리들에 퇴적되어 온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의미와 아우라들에 대해 이런저런 고민 중이다. 국악기를 위한 음악을 자주 작업한 바 있다(창작곡 수요가 많답니다 국악기 음악은... 짱짱맨). 
     가끔 오디오 신호처리를 프로그래밍하는 일을 하기도 한다. 주로 쓰는 언어는 SuperCollider이며 Max 나 pd 도 필요하다면 종종 쓰고 있다(매트랩은 다 까먹어서 지금은 할 줄 모른다. 공부 좀 열심히 해 둘걸). 그리고 현대음악의 현장에서 오디오 엔지니어, 녹음 기사 등의 일도 수행 중입니다(고용해 주세요). 저를 좀 금전적으로 도와주시길 바라며... 마지막으로, 성격은 매우 저텐션의 소유자이며 굳이 따지자면 자조적인 웃음이 넘치는 극 I에 해당하는 인간이다(INFP 이지만 10프피까진...아니에요...ㅠㅠ 맞나...?). 최근에는 유튜브 채널 FICTA(픽타)의 구성작가 겸 멤버로, 서양 고전음악에 관한 토크쇼의 패널로 출연 중이다.

Powered by Create your own unique website with customizable templates.
  • Home
  • About
  • Worklist
  • Writings and Arrangements
  • Get in Touch